'Photography'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1223 출근길 (0) | 2011.12.23 |
---|---|
111022 하늘공원 억새축제 (0) | 2011.10.22 |
110909 행담도 휴게소 하늘 (0) | 2011.09.10 |
110903 인천송도 센트럴파크 (0) | 2011.09.10 |
110827 홍익대 주변 스냅 (0) | 2011.08.28 |
111223 출근길 (0) | 2011.12.23 |
---|---|
111022 하늘공원 억새축제 (0) | 2011.10.22 |
110909 행담도 휴게소 하늘 (0) | 2011.09.10 |
110903 인천송도 센트럴파크 (0) | 2011.09.10 |
110827 홍익대 주변 스냅 (0) | 2011.08.28 |
렌즈자랑 캐논 17-55mm f2.8 IS (0) | 2011.07.30 |
---|---|
토키나 AT-X 116 PRO DX 11-16mm F2.8 개봉기 (0) | 2011.03.21 |
110605 마포대교 야경 (2) | 2011.06.06 |
---|---|
110603 반포대교 춤추는 분수 (0) | 2011.06.04 |
110423 인천대공원 벚꽃구경 (0) | 2011.04.24 |
110423 용산역 일출(?) (0) | 2011.04.23 |
토키나 11-16 빛갈라짐 (0) | 2011.04.23 |
110423 인천대공원 벚꽃구경 (0) | 2011.04.24 |
---|---|
110423 용산역 일출(?) (0) | 2011.04.23 |
110409 종로 중앙고등학교 (1) | 2011.04.10 |
110409 북촌한옥마을(북촌 8경을 찾아서) (1) | 2011.04.10 |
110409 남산골한옥마을 (1) | 2011.04.10 |
110423 용산역 일출(?) (0) | 2011.04.23 |
---|---|
토키나 11-16 빛갈라짐 (0) | 2011.04.23 |
110409 북촌한옥마을(북촌 8경을 찾아서) (1) | 2011.04.10 |
110409 남산골한옥마을 (1) | 2011.04.10 |
110403 응봉산 야경 (2) | 2011.04.10 |
-----------------------------------------------------------------------------------
토키나 11-16 빛갈라짐 (0) | 2011.04.23 |
---|---|
110409 종로 중앙고등학교 (1) | 2011.04.10 |
110409 남산골한옥마을 (1) | 2011.04.10 |
110403 응봉산 야경 (2) | 2011.04.10 |
110403 서울숲 (2) | 2011.04.03 |
남산골 한옥마을 입구를 지나면 처음 만나는 광장입니다.
정식명칭은 "천우각 광장"이라 합니다.
근처에 천우각이라는 누가 있어 이름이 그렇게 지어진 듯 하네요.
청류정을 오르다보면 한옥마을에서 유명한 서울 천년타임캡슐광장을 만날 수 있습니다.
타임캡슐로 가는 길이라 그런지 구불구불 신비한 느낌이 드네요.. ^^
신비한 느낌이 드는 길 끝에는 이 곳이 무슨 곳인지 알려주는 안내문구가 있습니다.
이 문구가 쓰여진 시기는 1994년 11월 29일이네요.
안내문구를 유심히 지켜보시는 아저씨.
구경나온 모자들..
자! 그럼 타임캡슐의 모습을 공개합니다!
조금 썰렁하네요 ㅎㅎ.
저 동그란 모양의 구조물에 가면,
이 곳이 만들어졌을 때 당시 서울과 협약을 맺었던 세계 각 국의 시장들의
문구가 쓰여져 있습니다.
독일?
브라질 상파울루
보고타
(출처 : 남산골한옥마을 홈페이지, 문제가 되면 자삭하겠습니다.)
타임캡슐을 뒤로하고 전경을 찍으로 올라가는 길..
서울천년타임캡슐의 전경의 모습입니다!
광각렌즈화각의 장점이 부각되는 사진이죠 으하하하!
타임캡슐을 지나, 남산골한옥마을 후문쪽으로 쭉 올라가다보면,
공원에서 제일 높은 지역에 위치한 "망북루"에 도착합니다.
망북루란 이름에는 "임금님을 그리워하면서 북쪽의 근정전을 바라본다"라는 뜻이 있다고 하네요.
가장 높은 곳에 있어서, 공원의 전경을 찍고 싶었는데,
정자 앞에 소나무가 우거져 있어 도저히 담을수가 없더군요 ㅜㅜ
------------------------------------------------------------------------------------------
한옥마을에 왔으니, 이제 한옥 구경을 할 시간!
맨 처음은 공원 중앙에 위치한 "서울남산국악당"입니다.
남산국악당에서는 정기적으로 공연을 하고 있는 모양이더라구요.
위 사진에도 나와있는 "날아라! 오리야!"가 그 한 예입니다.
자세히 알아보니, 4월 22일부터 공연이 시작되구요, 5월 8일에 종료한다고 합니다.
시간은 화~목 19:30, 금~토 11:00, 14:00입니다.
가격은 25,000원이라고 합니다.(오해하지마세요 ^^ 공연티켓값이지, 한옥마을 입장료는 무료입니다)
7월 1일~17일에는 무용극(미롱)이 계획되어있네요.
그리고 이 국악당에서는 한복입기 체험도 준비되어 있었는데요.
1인당 30분씩 10,000원을 내면 한복을 입을 수 있습니다.
내국인들 입장에서는 조금 비쌀 수 있지만, 외국인들에게는 좋은 체험이 되겠더라구요 ㅎㅎ
-------------------------------------------------------------------------
남산국악당에서 나와 다시 천우각 광장으로..
이제 한옥마을 전통가옥들을 구경할 차례입니다!
삼각동 도편수 이승업 가옥
이 가옥은 조선말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에 의하여 경복궁(景福宮)이 중건(重建)될 때 도편수(목수의 우두머리)였던
이승업이 1860년대 지은 집으로 중구 삼각동 32-6번지에 있던 것을 이곳 남산골 한옥마을에 이전, 복원하였다.
대문간채와 행랑채가 안채와 사랑채를 둘러싸고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안채와 사랑채만 남아 있다.
안채는 '丁(정)'자형이고 사랑채는 'ㄴ'자형의 평면이다. 안채에서 부엌과 안방쪽은 반오량(半五樑)으로 꾸며
전후면(前後面)의 지붕길이를 다르게 꾸민것은 특색이 있는 구조이다.
대청과 건넌방쪽은 일고주오량가(一高柱五樑架)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남산골 한옥마을 홈페이지-
관훈동 민씨 가옥
이 집은 민영휘(閔泳徽, 1852~1935) 저택 가운데 일부였다. 그는 관훈동 일대 너른 땅에다 집을 여러 채 짓고
일가붙이와 함께 살았는데, 옛 터의 위치는 종로구 관훈동 30-1번지였다. 원래 집터에는 안채와 사랑채 외에도
별당채와 대문간채, 행랑채 같은 집채가 있었다고 전하나 나중에 소유자가 바뀌면서 안채와 여기에 연결된
중문간채만 남기고 모두 헐려졌다.
1998년 남산골한옥마을을 조성할 때 남아있던 안채를 옮겨 지으면서 철거되었던 건넌방 쪽을 되살렸고,
사랑채와 별당채를 새로 지었다. 전체배치는 사랑채 뒤로 안채와 별당채를 구성하였으며 담과 문으로 적절하게
공간을 나눴다. 보통 서울지방 안채는 안방 앞쪽에 부엌을 둬서‘ㄱ자형’으로 꺾어 배치하는 편인데,
이 집은 드물게 부엌과 안방을 나란하게 놓았다. 이 밖에도 고주 두 개를 세워 짠 넓고 큰 목조구조와
6칸에 달하는 부엌의 규모, 그리고 마루 밑에 뚫려 있는 벽돌 통기구 등은 당시 일반 가옥과 다른
최상류층 주택의 면모를 확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출처:남산골 한옥마을 홈페이지-
제기동 해풍부원군 윤택영 재실
이 가옥은 조선 제27대 순종(純宗)의 장인(丈人) 해풍부원군 윤택영이 그의 딸이 동궁(東宮)의 계비(繼妃)로
책봉(冊封)(1906)되어 창덕궁(昌德宮)에 들어갈 때 지은 집으로 전한다. 동대문구 제기동 224번지에 있던 것을
이곳 남산골 한옥마을에 이전 및 복원하였다.
이 집의 평면은 우리나라에서 보기 드문 '元(원)'자 모양인데 제일 윗터에 사당(祠堂)을 배치하고
그 아랫터에는 몸채를 두었다.
사당은 1960년 4.19 혁명 때 불에 타서 없어졌던 것을 복원하였으며, 사당 앞에 두 단의 석축(石築)을 쌓아
화계(花階)를 구성하였다. 몸채는 일고주오량가(一高柱五樑架)이고 앞채는 삼량가(三樑架)이다.
장대석(長臺石) 기단(基壇)과 방형초석(方形礎石), 그리고 일부에는 굴도리를 사용하여 집의 격식(格式)을 높였다.
-출처:남산골 한옥마을 홈페이지-
옥인동 윤씨가옥
이 집은 대략 1910년대에 지었다고 알려진 옥인동 47-133번지 가옥을 그대로 본떠서 새로 지었다.
당시 옥인동 47번지 일대 너른 땅은 순종(純宗)의 황후인 순정효황후(1894~1966)의 큰아버지 윤덕영(1873`~1940)
소유였다. 그는 20여 채에 달하는 집을 짓고 일가붙이와 모여 살았는데, 그 가운데 서양식으로 지은
사위집(옥인동 박노수 가옥, 서울특별시 문화재자료 제1호)과
윤덕영의 측실이 거처했던 옥인동 47-133번지 가옥만 남아 전한다.
1998년에 남산골한옥마을을 조성하면서 옥인동 47-133번지 가옥을 옮겨 지으려 시도했으나 부재가 너무 낡고
손상이 심해 신축하였다. 세밀하게 고증하여 지었고, 원래 터가 진 땅의 높낮이 차이까지 일부나마 되살려
본래 분위기를 재현하였다. 매우 규모가 큰‘⨅자형’안채에 사랑채 구실을 하는 마루방과 대문간이 더해져
전체 배치는 ㅁ자형을 이루지만 아무래도 안채를 위주로 짠 공감임을 짐작할 수 있다. 간소하게 민도리집을
채택하였으나 안채 앞쪽은 일반 민가에서는 보기 드물게 기둥머리에 익공(翼工)을 치장하는 등
건축구조와 세부기법은 당시 최상류층 주택의 면모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출처:남산골 한옥마을 홈페이지-
------------------------------------------------------------------------
위 글들이 문제가 될시 자삭하겠습니다 ^^;;
------------------------------------------------------------------------
자세히 읽어보셨으면 아시겠지만, 이 한옥들은 애초에 남산아래에 지어진 것은 아니구요,
각지에 흩어진 한옥들을 그대로 남산으로 옮기거나 너무 낡았을 경우에는 복원한 형태입니다.
덕분에 우리는 "조선 사회지도층의 시크릿가든"을 손쉽게 볼 수 있게 되었죠!
5대 가옥을 다 보고 볼 수 있는 천우각입니다.
여름 양반들의 피서지라네요 ㅎㅎ
천우각 광장에서는 4월동안 전통예술 공연이 열립니다.
지금 보시는 장면은 매헌춤보존회의 "매헌 춤이 전하는 봄"이라고 하네요.
참고로 4월 매주 금~일요일에 "풍류의 밤"이라고 해서 저녁에도 공연이 열리고 있으니,
전통춤에 관심이 있으신 분은 가서 보시면 될 듯 합니다 ^^
------------------------------------------------------------------------
마지막으로 봄맞이 남산골 꽃사진 퍼레이드 나갑니다 ㅎㅎ
110409 종로 중앙고등학교 (1) | 2011.04.10 |
---|---|
110409 북촌한옥마을(북촌 8경을 찾아서) (1) | 2011.04.10 |
110403 응봉산 야경 (2) | 2011.04.10 |
110403 서울숲 (2) | 2011.04.03 |
110402 소래포구 / 소래생태습지공원 (일출사진) (1) | 2011.04.02 |
110402 소래포구 / 소래생태습지공원 (일출사진) (1) | 2011.04.02 |
---|---|
넥서스원 막찍 (0) | 2011.03.29 |
110319 구월동 애슐리 / 논현동 막찍 (0) | 2011.03.19 |
110312 낙산공원 / 이화동 벽화마을 (1) | 2011.03.12 |
110305 소래습지생태공원 (1) | 2011.03.05 |
토키나 외관 모습입니다.
겉모습은 참으로 단단해 보입니다!
그럼요 비싼 몸인데 튼튼해야죠!!
마운트를 해보니 어익후 무게가 제법 나갑니다.
하지만 무거움과 함께 엄청난 풍채를 보여주네요!
역시 비싼 몸입니다.
그래서 저도 수준에 걸맞는 B+W 필터를 달아주었습니다. (싯가 약 80,000원;;;)
앞으로 이 놈과 함께 광각의 세계로 빠져 봐야겠습니다!! 뿅!
--------------------------------------
맘같아선 개봉기를 좀 더 자세히 다루고 싶으나, 월요병에 빠진지라 너무나도 피곤하네요! ㅠㅠ
나중에 출사를 나가 이넘의 성능을 블로그를 통해 알려드리겠습니다!
Photograghed by Canon EOS 500D with Sigma 30mm f1.4
크롭의 3대 축복렌즈 (0) | 2011.07.30 |
---|---|
렌즈자랑 캐논 17-55mm f2.8 IS (0) | 2011.07.30 |